SOLO EXHIBITION
Artist Critique: We Are All the Center of the Universe!
The Universe According to Painter Choi Young-Joo
By Jang So-Hyun (Art Critic, Playwright, Poet)
Artist Choi Young-Joo illustrates a worldview in which all of us are connected and part of a single entity, through the arrangement of microcosms at different levels of awakening.
Standing at a new starting point, she paints and speaks of the universe.
She now conveys the universe with even greater depth and urgency than before, wanting to share it actively with her audience.
When her late-born daughter was young, Choi joyfully played and painted with her in a state of pure innocence. She saw the universe in her daughter’s existence and held an exhibition of their collaborative works. It was a fresh revelation.
“My daughter, born in 1996, made me let go of everything. Physically and mentally, I could do nothing but focus on life itself. It was awe-inspiring.
The universe opened its eyes, ate, and sang. In its wonder, my thoughts, my concept of time and space, all ceased. I became a single point in the universe. No—I became the entire universe.
Each moment was a masterpiece.”
Later, she experienced illness. When the body suffers, the mind naturally weakens.
Rejecting modern medicine, she turned to natural healing, meditation, travel, walking, and self-purification, allowing her to see the universe anew.
She came to an understanding: “Each of us, wherever we are, whether grand or humble,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
“What is an artist? My art must serve as light, guiding others toward their ‘true self.’
A good painting cleanses the viewer’s soul. To create such art, I must first know who I am.”
Choi Young-Joo’s paintings depict an empty chair in a vast blue void, celestial bodies connected by lines that extend beyond the frame, even reaching the desert. That is how she envisions the universe.
The empty chair stands out—who once sat there, and who will sit there next?
Each of us has a seat in the universe, and the way we occupy it is our personal journey.
<작가론>
우리는 모두 우주의 중심이다!
– 화가 최영주의 우주 이야기
장 소현 (미술평론가, 극작가, 시인)
작가 최영주는 각자의 깨어남 상태에 있는 소우주들의 배치와 연결로 우리 모두가 하나라는 세계관을 보여준다.
화가 최영주는 새로운 출발점에 서서 우주를 그리고, 이야기한다.
전에 비해 한층 깊고 절실해진 우주를 이야기하고, 보는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전하고 싶어 한다.
최영주는 늦둥이 딸이 어린 시절, 함께 순진무구한 마음으로 즐겁게 뒹굴면서 우주를 그렸었다. 어린 딸의 존재에서 우주를 보았고, 그렇게 그려진 그림으로 전시회를 열었다. 그 전시회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96년에 태어난 딸은 나의 모든 것을 내려놓게 했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오로지 생명만을 바라보게 했다. 경이로웠다.
우주가 눈을 뜨고, 우주가 먹고, 우주가 노래했다. 경이로움은 나의 생각과 시간 공간을 모두 정지시키고, 우주의 한 점이 되었다. 우주 전체가 되었다.
순간 순간이 하나의 작품이었다.”
그리고는 한동안 몸이 아팠다. 몸이 아프면 마음도 약해지기 마련이다. 최영주는 현대의학을 거부하고 자연요법으로 병을 다스리고 이겨내기 위해 마음 수련, 명상, 여행, 걷기, 버리고 비우기… 등에 매달리면서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보았다. 딸과 함께 그렸던 우주가 환상적이고 신비로운 것이었다면, 몸과 마음이 아픈 동안 보고 느낀 우주는 영성과 이어진 한층 구체적이고 절실한 것이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우주의 중심이다. 어디에 있건, 화려하건 그렇지 않건 우주의 중심이다.”라는 깨달음.
“화가란 무엇인가? 내가 그린 그림이 다른 사람에게 빛으로 다가가서 ‘참 나(眞我)’를 찾는 일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좋은 그림은 그림을 보는 사람의 영혼을 맑게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나는 누구인가를 깨우쳐야 한다.”고 작가 최영주는 말한다.
최영주의 작품은 푸른색의 텅 빈 공간, 그 공간 한 구석에 놓여 있는 빈 의자, 입체적으로 표현된 별, 그 별과 별을 이어주는 선으로 우주를 이야기한다. 별은 화면 밖에서도 반짝이고, 선은 전시장 바닥으로 이어지고 아예 전시장 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더 규모를 넓혀서 사막 한 가운데까지 별과 선이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작가는 말한다. 그것이 그가 생각하는 우주다.
뎅그라니 빈 의자가 눈길을 끈다. 그 의자에 앉았던 사람은 누구이고, 앉을 사람은 누구일까? 우주 공간의 한 귀퉁이를 차지한 나의 자리인 그 의자에 앉았던 나는 이제 어떻게 달라진 모습으로 이 의자에 다시 앉을 것인가?
작가는 말한다. 우리 누구나가 모두 우주 공간에 의자 하나씩 을 가지고 있다고, 그 의자에 어떤 모습으로 앉을 것인가는 각자에게 주어진 숙제라고….
<시로 쓴 작품론>
우주에 빈 의자 하나
-최 영주 그림을 보고
장 소현 (시인)
텅 빈 우주
가득 차게 그리려면
죽을 만큼 아파보거나
아무 것도 잡을 줄 모르는
어린아이처럼 텅 빈 마음 되어야….
버리고 또 버려
아무 것도 남지 않았을 때 비로소
겨우 보일 듯 말 듯 열리는
우주의 노래, 바람 소리….
내가 곧 우주라는 것
알아차릴 때까지 차마
의자에 앉지 못하는 사람.
가늘게 떨리는 꽃 한 송이처럼
날마다 다시 태어나기.
참 나를 찾아 헤매는 캄캄한 길
문득 화살표 같은
한 줄기 빛, 텅 빈 우주에서….
A vast, empty universe—
To fill it completely,
One must suffer deeply
Or embrace an empty heart like a child
That clutches nothing.
Only after letting go completely,
When nothing remains,
Does the song of the universe,
The whisper of the wind,
Barely begin to reveal itself.
Until I realize that I am the universe itself,
I cannot bring myself to sit in that chair.
Like a trembling, delicate flower,
Each day I am born anew.
On the dark path of searching for my true self,
Suddenly, like an arrow,
A beam of light appears
In the empty universe…
SOLO EXHIBITION
Sky, Stars, Flowers, and Heart
“How beautiful the world is.”
This phrase is inscribed on Choi Young-Joo’s painting. Her daughter, Somin, has turned fifteen and has been painting with her mother since childhood. Her mother, who studied contemporary art, has cherished and fostered her daughter’s innocent and unique ideas.
People resembling stars, flowers, trees, and angels unfold their imaginative expressions against a pale pink background, reminiscent of paradise. These are the things modern people have lost…
A warm heart, simple happiness, watering flowers in the garden, gazing at the stars, and meeting flying angels and a celestial celebration in the world of dreams—all these elements combine to create uniquely individualistic works, blending the child’s distinctive strokes with her mother’s thoughtful brushwork.
Recent works continue with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monochrome contemporary techniques,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similar to a folding screen. Mountains, flowing water, and a large moon evoke a distinctly Eastern aesthetic. This series, titled “The Face of Time,” attempts to convey the realization th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on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landscapes.
She has stated that through her art, she poses the question: “What is reality?” A piece titled “Open Time,” in which the entire universe is filled with white flowers, reflects an awakened perspective—one that washes away the ego’s gaze and perceives a reality illuminated by light.
She enjoys painting stars and flowers on round, white objects the size of pumpkins, which bring a smile as they reflect her gentle and round personality.
As a child, Choi Young-Joo loved Laozi and always pursued mindfulness. When she speaks of clearing her memory to unite with the universe’s essence, her face brightens infinitely. Observing her work, one cannot help but feel that her paintings, which seem to float through space like flowers, resemble her boundless and beautiful spirit.
Though she is a painter, she also strives to live an enlightened life, consistently practicing mindfulness in her daily routine. Her garden is lush, and her home is filled with flowers and traces of blossoms. She diligently cultivates a vegetable patch, lives a healthy lifestyle, and generously shares with friends. This abundance of spirit is evident in her artwork.
Her paintings are boundless, simple, without constraints, and warm. Their pure spirit and innocent heart reflect the uniquely Korean sentiment that contemporary art can convey—a return to an original, fundamental place.
The ambiguity that arises from the convergence of a child’s drawings with an adult’s remains an artistic challenge for Choi Young-Joo. However, she watches with excitement as her fifteen-year-old daughter unfolds an infinite world of art.
Visiting her garden, filled with blooming flowers, gazing at the colorful blossoms against a backdrop of cool bamboo groves, sitting at a table set with vegetables she has grown, and admiring the unique paintings she has created with her daughter is an immensely joyful experience.
Park Hye-Sook (Painter) – October 27, 2011
하늘 별 꽃 마음
“세상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최영주의 그림에 적혀 있는 글귀이다. 그녀의 딸 소민이는 열다섯 살이 되었는데 어렸을 적부터 엄마와 함께 그림을 그려왔다. 현대미술을 공부한 엄마가 딸의 순진하고 기발한 발상을 ‘발견’하고 귀히 여기며 함께 창조해 왔다.
별, 꽃, 나무, 천사를 닮은 사람들이 마치 천국을 연상시키는 옅은 분홍색을 배경으로 마음껏 심상을 펼쳐 나간다. 현대인이 잃어버린 것들…..
따뜻한 마음, 소박한 행복, 꽃밭에 물을 주고, 별을 바라보고, 꿈의 세계에서 만나는 날아다니는 천사들과 별들의 잔치가 아이의 특유한 필치와 엄마의 배려에 찬 필치가 만나 개성이 독특한 작품을 창조한다.
최근의 작업들은 산수화와 단색의 현대적 화면을 이어가며 병풍과 같은 효과를 내는 입체적 작업인데 산이 있고 물이 흐르고 달이 커다란 동양의 정취를 물씬 풍긴다. 시간의 얼굴이라는 제목으로 시도하는 이 그림들은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라는 그녀의 깨달음이 산수화와 현대화의 배치로 시도되고 있다.
그녀는 작품을 통하여 ‘실재’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하고 있다고 했다. 온 우주가 흰빛의 꽃으로 가득한 ‘열린 시간’이라는 작품은 자아의 시선을 씻고 빛으로 가득한 실재를 바라보는 깨어난 시선을 그리고 있다.
그녀는 호박덩어리 크기의 둥글둥글한 하얀 덩어리들에 별을 그리고 꽃을 그리길 즐겨하는데 그녀의 둥글둥글한 성품을 연상시켜 웃음 짓게 한다.
최영주는 어렸을 적에 노자를 좋아하고 늘 마음공부에 정진해왔다. 모든 기억을 없애 버리고 우주심과 하나 된 맑고 밝은 마음을 얘기할 때에 환하고 무한해지는 그녀의 얼굴빛을 바라보며 그녀의 그림이 우주를 훨훨 날아다니는 꽃다이 아름답고 무한한 그녀의 마음을 닮았다고 느끼곤 한다.
그녀는 화가이지만 또한 깨어난 삶을 살아가고자 일상의 삶 중에 늘 정진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그녀의 정원은 풍요롭고 집안 곳곳이 꽃과 꽃의 흔적들 로 가득 차 있다. 채소밭을 열심히 가꾸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고, 또 주위의 친구들에게 전해 주는 넉넉한 심성이 그녀의 그림에 드러난다.
무한하고, 소박하고, 법이 없고 따뜻한 그림, 순결한 정신과 순진무구한 마음은 현대미술에 한국인의 심성이 전해줄 수 있는, 유일한 본래의 자리이자 출 구이다.
아이의 그림과 어른의 그림이 만나 모호해지는 일면은 앞으로 최영주의 그림세계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고, 벌써 열다섯 살이란 소민이가 펼쳐나 갈 무궁무진한 그림의 세계를 흥미진진한 마음으로 주시할 생각이다.
꽃이 만발한 최영주의 정원을 방문하여 시원한 대숲을 배경으로 온갖 꽃들을 바라보며 그녀가 키운 채소들로 마련된 식탁에 앉아 있다가 소민이와 함께 그려 놓은 특이한 그림들을 들여다보는 일은 무척 즐거운 일이다.
박혜숙 (화가) 2011-10-27
SOLO EXHIBITION
Author’s Note: Only by Letting Go Can I See the Universe – Choi Young-Joo
I let go of myself in order to live.
Letting go of thoughts and attachments clears my mind.
I discard and discard again the images, scents, textures, and customs I have recorded—so that my eyes, ears, and body may be free.
By releasing everything, I wish to see the world without judgment or preconceived notions, in its original form.
With purified eyes, I wish to see the world.
With cleansed ears, I wish to hear its sounds.
With neither bias nor arrogance, I wish to feel it.
Until all life becomes one with me, I continue to let go.
To paint this beautiful world just as it is…
My daughter, born in 1996, made me relinquish everything. Physically and mentally, I could do nothing but gaze at life itself. It was awe-inspiring.
The universe opened its eyes, the universe ate, the universe sang. In its wonder, my thoughts, my concept of time and space, all ceased. I became a single point in the universe. No—I became the entire universe.
Each moment was a masterpiece.
Ah, this is how mothers create art! But because this art is so vast and indescribable, it cannot be hung in a museum. A mother holding her child is a colossal artwork that shakes and moves the universe—so grand, like a divine masterpiece, that it cannot be displayed.
My child and I rolled over the canvas spread across the floor, naturally painting the universe and our stories—without embellishment, just as we were.
<작가의 말>
버리니 비로소 보이는 우주 – 최영주
살기 위해서 나를 버린다.
생각과 집착을 버려 내 머리가 맑아지고,
내가 찍은 영상과 냄새, 감촉, 관습을
모두 버리고 또 버려
눈과 귀와 나의 몸이 자유스럽기를 원한다.
버리고 다 버려 나의 판단과 기준 없이
본래의 모습으로 모두를 보고 싶다.
맑아진 눈으로 세상을 보고
깨끗해진 귀로 세상의 소리를 듣고
편견과 오만 없이 세상을 느끼고 싶다.
모든 생명이 내가 되고, 하나가 될 때까지
나를 버리고 또 버린다.
이 아름다운 세상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그리기 위해…
96년에 태어난 딸은 나의 모든 것을 내려놓게 했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오로지 생명만을 바라보게 했다. 경이로웠다.
우주가 눈을 뜨고, 우주가 먹고, 우주가 노래했다. 경이로움은 나의 생각과 시간 공간을 모두 정지시키고, 우주의 한 점이 되었다. 우주 전체가 되었다.
순간 순간이 하나의 작품이었다.
아, 세상의 엄마들은 이렇게 예술을 하는구나… 그것이 너무도 크고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작품이라서, 미술관에 걸지를 못하는구나!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의 모습이 우주를 울리고 감동시키는 거대한 작품이라서, 하나님의 작품을 전시하지 못하듯…
아이와 난 바닥에 깔린 캔버스 천 위에 뒹굴며, 자연스럽게 우주와 우리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있는 그대로 꾸미지 않고…!
